군만두의 IT 공부 일지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후기 & 단기 벼락치기 공부법 본문

학습일지/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후기 & 단기 벼락치기 공부법

mandus 2025. 2. 14. 12:06
▲ 원서접수내역

 
하루 동안 급하게 벼락치기로 공부해서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63점으로 합격했다. 어떻게 합격했는지 공유하려고 한다. 아래는 간단히 요약한 내용이다. 전공자 혹은 관련 공부를 했던 비전공자라면 블로그 내용이 도움이 될 것이다.
 
요약

  •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만 풀기 → 틈틈봇 사용
  • 각 과목별 40문제 이상 풀기 → 최소 40문제 필수
  • 시험 치기 전까지 이론 한번 보고 가기(또는 문제 풀기)

1. 시험 접수

▲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320

 
먼저, 정보처리기사 시험은 Q-Net에서 접수할 수 있다. 자세한 일정은 위 사진을 참고한다. 정처기는 2020년에 NCS로 출제 기준이 바뀌고 2022년 3회부터 CBT로 시험 방식이 바뀌었다. 따라서 CBT 문제를 검색했을 때, 2023년부터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의 최신 기출문제를 구하기 어려울 것이다.

2. 공부 방법

▲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320&outLink=true

 
필기 시험을 합격하려면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받으면 된다. 시험 문제는 이전 년도의 기출문제가 거의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연도별로 2~3번 정도 풀어보면 쉽게 합격할 수 있다.
 
나는 '정처기 필기 기출문제', '정처기 요약 PDF' 등을 미리 준비해두었지만, 개인 사정으로 사전에 공부를 하지 못해 벼락치기에 도전했다. 하지만 기출문제를 풀고 답을 확인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어떻게 할까 생각하다가 앱을 하나 설치하게 되었다. 틈틈봇이라는 어플인데 아래 사진처럼 2020년부터 2022년까지의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풀 수 있다.
 

▲ 틈틈봇

 
틈틈봇을 사용하면 기출문제를 풀고 정답과 풀이도 바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많이 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손으로 쓰는 방식보다는 이 방식이 실제 시험 환경과 유사하다.
 

1과목2과목3과목4과목5과목
소프트웨어 설계소프트웨어 개발데이터베이스 구축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1~3과목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고 암기하기 쉽기 때문에 집중해서 평균을 맞추려고 했다. 그리고 난이도가 높은 과목 4~5과목은 C, Python, Java 등 코드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해당 부분은 건너뛰고 이론 문제만 풀었다. 프로그래밍 결과 출력 문제는 해당 언어를 공부했던 사람이라면 쉽게 풀 정도로 기초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따로 공부하지 않았다.
 
실제로 어젯밤에 처음 공부했기 때문에 1~2과목은 100문제 정도 풀다가, 시간이 정말 부족하다고 느껴서 3~5과목은 40문제만 풀고 갔다. 약 4~5시간 정도 공부한 것 같다. 그리고 점점 마음이 불안해져서 시험장에 가기 30분 전부터 이론이 정리된 PDF를 가볍게 훑어봤다.

3. 시험 응시

- 준비물: 신분증
 
필기구는 따로 필요 없고, 신분 확인을 위한 실물 신분증(또는 모바일 신분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가방이나 휴대폰을 가지고 왔다면, 감독관이 교실 앞으로 제출하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수험표도 필요 없었다. 본인이 시험을 진행할 자리의 모니터 화면에 이름과 수험번호가 있기 때문에 앉기만 하면 된다.
 
시험 문제는 기출문제와 동일한 문제가 대부분 출제됐다. SQL 문법이나 보안 용어는 거의 출제되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설계 및 개발 관련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던 것 같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골고루 출제되었는데, 문자를 더한 결과나 배열의 인덱스 값을 출력하는 등 정말 간단한 문제만 있었다.
 
문제를 다 풀고 응시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확인창이 두 번 나타나는데, '예'-'예'로 클릭하면 필기시험 결과가 바로 나타난다. 나는 63점을 보고 안심하고 나왔다.

4. 시험 후기

하루밖에 준비 안 했기 때문에 불합격할 줄 알았는데 합격해서 정말 다행이었다. 어느 정도는 아는 내용이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기출문제를 풀어보니까 쉽지 않았었다. 그래도 어플을 사용해서 빠르게 기출문제를 푸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전공자인 친구들한테 보통 3~5일 정도만 공부해도 된다고 들었는데,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비전공자라면 최소 일주일의 공부시간을 가지는 게 좋을 것 같다.
 
이제 정처기 실기를 같이 준비하면서 SQLD도 준비해야겠다.

틈틈봇은 본 포스트에서의 언급과 관련하여 법적 또는 업무적 책임이 없음을 명시합니다. 본 내용은 홍보 목적이 아니며 순수하게 정보 제공을 위한 것임을 밝힙니다.
Comments